2000년대 미국 it버블의 붕괴
911테러와 이라크전 미국의 경제침체
초저금리 정책, 금리가 낮아지니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낮아진다
금리가 낮아지니까 누구나 쉽게 대출을 받는다.
그리고 금리가 낮으니까 돈 있는 사람들은 부동산에 투자해서 집값이 상승한다.
2004년 호황,
주택담보대출을 사람들이 어마어마 하게 받고 은행도 행복한 비명을 지르는데
더 대출을 하고 싶은데 돈이 없어, 그러면 미국주택공사에 주택담보대출 대출권을 팔고(Fannie Mae 패니메이,프레디맥)
그 금액만큼 다시 돈을 받아서 그돈을 다시 빌려주고 반복
연방주택공사에서 사람들의 대출권을 모아서 채권의 형태로 재판매(mbs채권) 국가에서 보증을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삼
초저금리를 중단하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금리를 올리게 된다.
금리가 오르게 되니까 주식과 주택값 폭락, 주택을 산 사람들은 파산하게됨 이자가 커지고
집값이 오르면 팔아서 시세 차액을 얻으려 했는데 그것도 안되고 개인들이 파산하게 된다.
mbs채권을 산 사람들은 불안하니까 은행에 가서 돈으로 바꾼다.
하지만 은행은 이미 돈이 없는상태.. 결과적으로 은행과 기업, 개인 모두 파산
frb의 양적완화 시작
아무도 사지 않는 mbs채권은 연준이 돈을 찍어내서 구입하기 시작
사람들이 돈을 안쓰니까 돈이 돌게 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헤서 쓰고, 그걸 다시 연준이 사고 반복
결과적으로 미국이 살아나기 시작, 3차례에 걸쳐서 양적완화를 한다.
2009년 3월, 2010년 적자해소, 2012년 부동산 채권과 국채를 무기한 매입 시작
2013년 12월 양적완화 중단하고 출구를 하겠다고 발표
미국이 양적완화를 통해 돈을 뿌리고, 그 돈은 개도국 한국, 인도, 브라질에 투입이 된다.
양적완화가 중단될 경우 미국의 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돈을 회수해서 빠져나갈 것이다.
프랑스영국의 전쟁 나폴레옹 당시
로스차일드의 영국인은 하루먼저 정보를 접하고나서
영국내에 영국이 패했다고 알리고
사람들은 영국 주식을 미친듯이 판매, 그리고 로스차일드는 똥값에 모두 매입